미국, 국내 자동차·부품에 25% 관세 부과업계

페이지 정보

작성자 onion 댓글 0건 조회 14회 작성일 25-04-09 14:53

본문

미국, 국내 자동차·부품에 25% 관세 부과업계 피해 최소화 위해 정부 지원책 마련수출 대기 중인 자동차. /사진=연합뉴스미국이 우리나라 자동차·부품에 25% 관세를 부과한 가운데 정부가 2조원의 정책금융을 추가로 투입해 업계 피해를 최소화할 방침이다. 정부는 또 전기차 보조금 확대, 개별소비세 감면, 공공 업무 차량 조기 구매 등 수출이 줄어든 자리를 내수가 메울 수 있도록 지원책을 시행한다.아세안, 인도, 중동, 중남미 등 대체 시장 개척을 위한 지원에도 나선다. 세제, 인허가, 제도개선 등 지원을 통해 미래 차 기술 경쟁력 강화를 지원한다.정부는 9일 최상목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장관 주재로 경제관계장관회의 겸 산업경쟁력강화 관계장관회의에서 이 같은 내용의 '자동차 생태계 강화를 위한 긴급 대응 대책'을 발표했다.앞서 트럼프 행정부는 지난 3일부터 미국 밖에서 생산된 모든 자동차에 25% 관세를 무차별 부과했다. 국내 자동차 업계에도 상당한 피해가 우려된다. 5월 3일부터는 자동차 부품에 대해서도 25% 관세가 얹어진다.미국은 한국 자동차 산업에 있어 중요한 시장이다. 지난해 한국의 자동차 수출액 708억달러 가운데 절반에 육박하는 49%(347억달러)가 대미 수출에서 나왔을 정도다. 자동차 부품의 대미 수출 규모도 82억달러에 달해 업계의 근심이 깊어질 전망이다.민간 전문기관들은 '수출 효자'로 불리는 자동차 산업이 미국의 25% 관세를 맞게 되면서 대미 수출은 약 65억달러 감소할 것으로 내다봤다. 또 완성차 업계의 영업이익이 10조원 안팎으로 줄어들 것으로 추산했다.이에 정부는 미국발 관세 충격으로 위기에 몰린 자동차 산업에 긴급 정책금융을 추가 공급하기로 했다. 이로써 올해 자동차 분야의 정책금융은 13조원에서 15조원으로 2조원 확대된다. 추후 소진율과 관세 파급에 따른 기업 수요 변화 등에 따라 추가 공급 가능성도 있다.이 같은 정부 지원에 호응해 현대·기아차도 금융권·정책금융 기관과 함께 1조원 규모의 상생 프로그램을 조성, 협력사의 대출·보증·회사채 발행을 지원한다.중소기업을 위한 '긴급 경영 안정 자금' 지원도 확대된다. 관세 피해기업에 법인·부가·소득세 납부 기한을 최대 9개월 연장한다. 또 조세 부담 완화를 위해 1년간 관세를 유예할 수 있다.정보가 부족해 대응이 어려운 중소기업의 정보 미국, 국내 자동차·부품에 25% 관세 부과업계 피해 최소화 위해 정부 지원책 마련수출 대기 중인 자동차. /사진=연합뉴스미국이 우리나라 자동차·부품에 25% 관세를 부과한 가운데 정부가 2조원의 정책금융을 추가로 투입해 업계 피해를 최소화할 방침이다. 정부는 또 전기차 보조금 확대, 개별소비세 감면, 공공 업무 차량 조기 구매 등 수출이 줄어든 자리를 내수가 메울 수 있도록 지원책을 시행한다.아세안, 인도, 중동, 중남미 등 대체 시장 개척을 위한 지원에도 나선다. 세제, 인허가, 제도개선 등 지원을 통해 미래 차 기술 경쟁력 강화를 지원한다.정부는 9일 최상목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장관 주재로 경제관계장관회의 겸 산업경쟁력강화 관계장관회의에서 이 같은 내용의 '자동차 생태계 강화를 위한 긴급 대응 대책'을 발표했다.앞서 트럼프 행정부는 지난 3일부터 미국 밖에서 생산된 모든 자동차에 25% 관세를 무차별 부과했다. 국내 자동차 업계에도 상당한 피해가 우려된다. 5월 3일부터는 자동차 부품에 대해서도 25% 관세가 얹어진다.미국은 한국 자동차 산업에 있어 중요한 시장이다. 지난해 한국의 자동차 수출액 708억달러 가운데 절반에 육박하는 49%(347억달러)가 대미 수출에서 나왔을 정도다. 자동차 부품의 대미 수출 규모도 82억달러에 달해 업계의 근심이 깊어질 전망이다.민간 전문기관들은 '수출 효자'로 불리는 자동차 산업이 미국의 25% 관세를 맞게 되면서 대미 수출은 약 65억달러 감소할 것으로 내다봤다. 또 완성차 업계의 영업이익이 10조원 안팎으로 줄어들 것으로 추산했다.이에 정부는 미국발 관세 충격으로 위기에 몰린 자동차 산업에 긴급 정책금융을 추가 공급하기로 했다. 이로써 올해 자동차 분야의 정책금융은 13조원에서 15조원으로 2조원 확대된다. 추후 소진율과 관세 파급에 따른 기업 수요 변화 등에 따라 추가 공급 가능성도 있다.이 같은 정부 지원에 호응해 현대·기아차도 금융권·정책금융 기관과 함께 1조원 규모의 상생 프로그램을 조성, 협력사의 대출·보증·회사채 발행을 지원한다.중소기업을 위한 '긴급 경영 안정 자금' 지원도 확대된다. 관세 피해기업에 법인·부가·소득세 납부 기한을 최대 9개월 연장한다.

관심전공분야


보유 자격증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